맨위로가기

로디지아 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디지아 전선(RF)은 1962년 창설된 백인 정당으로, 남로디지아의 독립을 추진하고 다수 통치를 반대했다. 1965년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각 인종의 고유성 유지, 토지 분배법 유지, 인종 통합 반대 등을 주요 정책으로 삼았다. 1980년 짐바브웨 독립 이후에도 백인 의석을 확보했으나, 1987년 백인 의석 폐지 이후 짐바브웨 보수 연합으로 이름을 변경하며 모든 인종에게 문호를 개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짐바브웨의 정당 - 민주변화운동
    민주변화운동(MDC)은 1999년 짐바브웨에서 창당된 정당으로, 2000년 헌법 개정 국민투표 반대 운동을 벌였고, 국회의원 선거에서 57석을 얻었으나, 선거 조작 의혹과 당내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 짐바브웨의 정당 - 민주변화운동 - 창기라이
    민주변화운동은 1999년 짐바브웨 노조 회의 등 시민 사회 단체들이 ZANU-PF에 대항하여 창당한 주요 야당으로, 권력 분점 협정으로 총리직을 배출하기도 했으나 분열과 지도부 사망 등을 겪었다.
  • 우익 정당 - 조국과 자유를 위해/LNNK
    조국과 자유를 위해/LNNK는 라트비아의 민족주의 정당으로, 여러 정당과의 합병을 거쳐 탄생했으며 라트비아의 국익 옹호, 국가 정체성 확립에 주력했고 연립 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국민 연합에 합류하여 단일 정당으로 재조직되었고 유럽 통합에 대해서는 반연방 유럽, 온건 유로 회의론적 입장을 취했다.
  • 우익 정당 - 대중인민연합
    대중인민연합은 1919년 폴란드에서 창당된 우익 정당으로, 민족주의, 국가 통합, 반공주의, 반독일주의를 표방하며 1919년 선거에서 140석을 얻었지만, 1926년 쿠데타 이후 해산되어 국민당으로 계승되었다.
로디지아 전선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디지아 전선 로고
로디지아 전선 로고
약칭RF
지도자이언 스미스
설립일1962년 3월 1일
해산일1981년 6월 6일
후신공화전선
전신도미니언당
남로디지아 자유당
본부솔즈베리, 로디지아
이념로디지아 민족주의
국가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반공주의
정치적 위치우익 ~ 극우
색상보라색
흰색
깃발
정치
국가로디지아

2. 역사

로디지아 전선은 1962년 창당되어 1987년 백인 의석이 폐지될 때까지 로디지아와 짐바브웨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당은 인종 분리 정책을 유지하고 백인 소수 통치를 지속시키려 했다. 1965년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1980년 짐바브웨 독립 이후에도 백인 의석을 유지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1977년에는 당내 분열로 로디지아 행동당이 창당되기도 했다. 1980년 짐바브웨 독립 이후, 당명을 짐바브웨 공화 전선(1981), 짐바브웨 보수 연합(1984)으로 변경하며 변화를 모색했지만, 1987년 백인 의석 폐지와 함께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했다.[24]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62-1965)

1962년 3월 13일, 로디지아 전선(RF)은 도미니언당, 화이트헤드 총리에 반대하는 연합연방당 (UFP) 탈당파, 그리고 남로디지아 자유당의 이전 구성원들이 합쳐져 만들어졌다.[12] 초기에는 불안정하고 이념적으로 분열되어 있었지만, 에드가 화이트헤드의 다수 통치로의 전환 계획과 영국의 다수 통치 이전 독립 반대 요구에 반대한다는 점에서는 단결했다.[12]

로디지아 전선은 1962년 남로디지아 총선에서 성공적인 선거 운동을 통해 콩고와 케냐와 같은 다수 통치 시나리오에 대한 백인들의 불안감을 이용했다. 이들은 권력을 "책임감 있는 손"에 유지하고, 로디지아 및 냐살랜드 연방으로부터 남로디지아의 독립을 보장하며, "유럽인과 그의 문명, 그가 그의 나라에 쏟은 모든 것의 매각"을 막겠다고 약속했다.[12] 영국의 다수 통치 요구에 대한 반대는 매우 강해서, 로디지아 전선이 이끄는 정부는 결국 1965년에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선언했다.

로디지아 전선은 15가지 창립 원칙을 가지고 있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3]

번호내용
1각 인종 집단의 고유성 유지 권리 보존
2실력주의를 통한 "적절한 기준" 유지
3토지 분배법 유지 (토지 소유 및 분배의 인종 불균형 공식화)
4강제적인 인종 통합 반대
5백인 노동자의 직업 보호
6기독교 신앙 실천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로디지아 전선을 보수주의 정당으로 정의했다. 로디지아 전선은 경제 발전, 법과 질서의 붕괴, 로디지아의 공산주의 정권 등장을 주장하며 다수 통치를 강력하게 반대했고, 이를 통해 백인 로디지아의 이익을 유지하려 했다.[13] 또한,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온 백인들의 로디지아 이민을 장려했다.[13]

로디지아 전선은 모든 백인 구성원을 유지했으며,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다른 인종에게 별도의 편의 시설을 계속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당은 로디지아 내외에서 종종 인종차별주의자로 여겨졌다.[14] 그러나 이안 스미스와 로디지아 전선은 그들의 정책과 이념, 민주주의 원칙이 실력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며 "색깔이나 민족주의가 아닌" 정책과 "별도의 경제적 진보"가 궁극적으로 다수 통치 대신 "흑인과 백인 간의 평등한 파트너십"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는 달리, 로디지아 전선은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완전히 박탈하지 않았고, 대인 관계를 규제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식 법률을 도입하지 않았다.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과 관계는 가능했고 합법이었지만 흔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모든 측면에서 로디지아 전선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유지했다. 백인 소수의 경제적 지배와 토지 소유가 유지되었고, "별도의 경제적 진보" 정책을 통해 공공 서비스, 교육 및 선거 명부의 인종 차별이 유지되었다.

로디지아 전선이 집권하기 전, 소득 및 재산 자격에 따라 구분된 'A' 및 'B' 선거인 명부가 이미 수십 년 동안 흑인 유권자의 권리를 사실상 박탈했다. 'A' 명부는 주로 부유한 백인 소수로, 'B' 명부는 소수의 아프리카인으로 구성되었다. 흑인 다수의 보이콧 운동과 결합하여, 이는 사실상 백인 소수 통치를 초래했다.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에서 두 선거인 명부는 인종별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유럽인 'A' 명부는 50석, 아프리카인 'B' 명부는 8석(추장 및 부족 대표를 위한 간접 선출 8석 추가)으로, 27만 명의 백인이 50석, 6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16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흑인들이 이 시스템을 거부하는 것을 더욱 강화했다.

같은 해 로디지아 토지 소유법이 도입되어, 표면적으로는 백인 소유 토지를 흑인과 동일한 4,500만 에이커로 줄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가장 비옥한 농지가 백인 소유로 남았고, 일부 농부는 경계를 흑인 거주 지역으로 옮겨 이득을 얻었으며, 이로 인해 정부의 강제 퇴거가 발생했다.[15][16]

2. 2. 일방적 독립 선언과 통치 (1965-1980)

1962년 남로디지아 총선에서 승리한 로디지아 전선(RF)은 영국의 다수 통치 요구에 반대하며 1965년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선언했다.[12]

RF는 각 인종 집단의 고유성 유지, 실력주의를 통한 "적절한 기준" 유지, 토지 분배법 유지, 강제적인 인종 통합 반대, 백인 노동자 직업 보호, 기독교 실천 등 15가지 창립 원칙을 내세웠다.[13] 이 당은 백인 로디지아의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 통치를 강력하게 반대했으며,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온 백인들의 이민을 장려했다.[13]

RF는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다른 인종에게 별도의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자 했으며, 이로 인해 인종차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4] 그러나 이안 스미스와 RF는 자신들의 정책이 실력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색깔이나 민족주의가 아닌" 정책과 "별도의 경제적 진보"가 궁극적으로 다수 통치 대신 "흑인과 백인 간의 평등한 파트너십"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당과는 달리, RF는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전부 박탈하거나 대인 관계를 규제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스타일의 법률을 도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RF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영속화했다. 백인 소수의 경제적 지배와 토지 소유가 유지되었고, "별도의 경제적 진보" 정책을 통해 공공 서비스, 교육 및 선거 명부의 인종 차별이 유지되었다.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에서는 두 선거인 명부를 인종별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27만 명의 백인이 50석을, 6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16석을 갖게 되었다. 로디지아 토지 소유법은 표면적으로는 백인 소유 토지를 흑인과 동일하게 4,500만 에이커로 줄였지만, 실제로는 가장 비옥한 농지가 백인의 손에 남았다.[15][16]

1977년, RF는 흑인 민족주의 지도자들과의 합의를 협상하려는 스미스의 제안에 반대하는 강경파가 분리되어 로디지아 행동당 (RAP)을 결성하면서 분열을 겪었다.[17]

2. 3. 짐바브웨 독립 이후 (1980-1987)

1980년, 로디지아가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면서 새로 실시된 총선에서 로디지아 전선은 의회에서 백인에게 지정된 20석 전부를 획득하였다.[23] 1981년 6월 6일, 당명을 공화주의 전선(Republican Front)으로 변경하고,[23] 1984년 7월 21일에는 짐바브웨 보수 연맹(Conservative Alliance of Zimbabwe)이 되었다.[23] 이 시기 동안 20명의 소속 의원 중 11명이 탈당하였으나,[23] 이후 1985년 총선에서 다시 한번 백인 지정 20석 중 15석을 획득하였다.[23] 1986년, 짐바브웨 보수 연맹은 짐바브웨의 모든 인종에게 입당을 허가하였다.[23] 1987년 짐바브웨 정부가 백인 의회 지정석을 폐지함에 따라 많은 백인 의원들이 무소속이 되거나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맹(ZANU)로 이적하였다.[24]

3. 이념 및 정책

로디지아 전선(RF)은 1962년 창설되어 백인 소수 통치를 유지하고, 다수 통치로의 전환에 반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당은 1962년 남로디지아 총선에서 승리하여 집권했으며, 1965년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주도했다.

RF는 15가지 창립 원칙을 내세웠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칙
각 인종 집단의 고유성 유지 권리 보존
실력주의를 통한 "적절한 기준" 유지
토지 분배법 유지 (인종 간 토지 소유 및 분배 불균형 공식화)
강제적인 인종 통합 반대
백인 노동자의 직업 보호
기독교 실천



역사학자들은 RF를 보수주의 정당으로 평가하며, 이 당이 경제 발전, 법 질서 붕괴, 공산주의 정권 등장 등을 이유로 다수 통치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백인들의 이익을 지키려 했다고 분석한다.[13] RF는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백인들의 이민을 장려하기도 했다.[13]

RF는 백인으로만 구성되었고,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다른 인종에게 별도의 시설을 제공하려 했기 때문에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4] 그러나 이안 스미스와 RF는 자신들의 정책이 실력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피부색이나 민족주의"가 아닌 정책과 "별도의 경제적 진보"가 결국 "흑인과 백인 간의 평등한 동반자 관계"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RF는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는 달리,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완전히 박탈하거나 인종 간 관계를 규제하는 법률을 명시적으로 도입하지는 않았다.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은 허용되었지만, 다른 모든 측면에서 RF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유지했다.

1977년, RF는 흑인 민족주의 지도자들과의 합의를 반대하는 강경파가 분리되어 로디지아 행동당(RAP)을 결성하면서 분열을 겪었다.

3. 1. 백인 우월주의

로디지아 전선은 15가지 기본 원칙을 내세웠는데, 그 중에는 각 인종이 고유한 정체성을 지킬 권리 보장, '적절한 기준' 유지, 토지 분배법 유지가 포함되었다.[13] 이는 토지 소유와 분배에 있어서 인종 간 불평등을 제도화하고, 인종 통합에 반대하며, 백인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인종에 따라 분리된 편의 시설을 제공할 정부의 권한을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23]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로디지아 전선을 보수주의 정당으로 평가하며, 이 당이 경제 발전, 법 질서 붕괴, 공산주의 정권 등장 등을 이유로 다수 통치를 강력하게 반대하며 백인 로디지아인들의 이익을 지키려 했다고 본다.[13] 또한, 로디지아 전선은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백인들의 이민을 장려했다.[13]

로디지아 전선은 백인으로만 구성되었고,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다른 인종에게 별도의 시설을 제공하려 했기 때문에 로디지아 안팎에서 인종차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4] 그러나 이안 스미스와 로디지아 전선은 자신들의 정책과 이념, 민주주의 원칙이 실력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피부색이나 민족주의"가 아닌 정책과 "별도의 경제적 진보"가 결국 다수 통치 대신 "흑인과 백인 간의 평등한 동반자 관계"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는 달리, 로디지아 전선은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완전히 박탈하거나, 대인 관계를 규제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식의 법률을 도입하지는 않았다.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과 관계는 허용되었고 합법이었지만, 흔한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다른 모든 면에서 로디지아 전선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유지했다. 백인 소수의 경제적 지배와 토지 소유가 유지되었고, "별도의 경제적 진보" 정책을 통해 공공 서비스, 교육, 선거인 명부에서 인종 차별이 지속되었다.

로디지아 전선 집권 이전부터 소득과 재산 자격에 따라 'A', 'B' 선거인 명부가 나뉘어 흑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제한하고 있었다. 'A' 명부는 주로 부유한 백인 소수로 구성되었고, 'B' 명부는 소수의 아프리카인으로 구성되었다. 흑인 다수의 보이콧 운동과 함께, 이는 사실상 백인 소수 통치를 낳았다.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에서는 두 선거인 명부를 인종별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유럽인 'A' 명부는 50석, 아프리카인 'B' 명부는 8석(추장 및 부족 대표를 위한 간접 선출 8석 추가)을 할당했다. 이는 27만 명의 백인이 50석을, 6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16석을 차지하는 불평등한 구조였다.

같은 해 도입된 로디지아 토지 소유법은 표면적으로는 백인 소유 토지와 흑인 소유 토지를 각각 4,500만 에이커로 동일하게 설정했지만, 실제로는 비옥한 농지는 대부분 백인 소유로 남았고, 일부 백인 농부들은 경계를 흑인 거주 지역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이익을 얻기도 했다.[15][16]

3. 2. 반공주의

로디지아 전선(RF)은 공산주의 정권의 등장을 막고, 백인 로디지아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다수 통치에 강력하게 반대했다.[13] 역사학자들은 이 당이 경제 발전과 법, 질서의 붕괴를 막고, 로디지아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고 평가한다.[13]

RF는 1965년 영국의 다수 통치 요구에 반발하여 로디지아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을 이끌었다.

3. 3. 경제적 자유주의

로디지아 전선(RF)은 경제 발전, 법과 질서 유지, 그리고 공산주의 정권 등장 방지를 주장하며 백인 로디지아의 경제적 이익을 지키고자 했다.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는 달리, RF는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완전히 박탈하거나 인종 간 관계를 규제하는 법률을 도입하지는 않았다.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과 관계는 허용되었지만, 다른 모든 측면에서 RF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유지했다.[14]

백인 소수의 경제적 지배와 토지 소유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별도의 경제적 진보" 정책을 통해 공공 서비스, 교육, 그리고 선거 명부에서의 인종 차별이 계속되었다. RF는 주로 명시적이지 않은 방법을 통해 소수 통치를 유지하려 했다.[14]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A'와 'B' 선거인 명부를 인종별로 명확하게 구분했다. 유럽인 'A' 명부는 50석, 아프리카인 'B' 명부는 8석이 할당되었다. 추장 및 부족의 이익을 대표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선출된 8석이 추가되어, 결과적으로 27만 명의 백인이 50석을, 6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의회에서 16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흑인들이 이 시스템을 거부하는 것을 더욱 강화했다.[15]

같은 해 도입된 로디지아 토지 소유법은 표면적으로는 백인 소유 토지와 흑인 소유 토지를 각각 4,500만 에이커로 동일하게 설정했으나, 실제로는 가장 비옥한 농지가 백인 소유로 남았다. 일부 백인 농부들은 경계를 흑인 거주 지역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이득을 취했고, 이는 정부의 강제 퇴거를 유발했다.[15][16]

4. 평가

로디지아 전선(RF)은 백인 유권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인종별 분리 정책을 추구하여 로디지아 안팎에서 인종차별 정당으로 평가받았다.[14]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 달리 RF는 비백인 유권자의 권리를 완전히 박탈하지는 않았고,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은 법적으로 가능했지만 흔한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RF 정부는 경제적 불평등과 토지 소유의 불균형을 유지하고, 공공 서비스와 교육, 선거 제도에서 인종 차별을 지속했다.

RF 집권 이전에도 흑인 유권자의 권리는 이미 크게 제한된 상태였다.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RF는 선거인 명부를 인종별로 나누어 백인과 흑인 간 의석수 차별을 심화시켰다.[17]

1969년 도입된 토지 소유법은 겉으로는 백인과 흑인에게 동등한 토지 소유 권한을 부여하는 듯했지만, 실제로는 비옥한 농지가 대부분 백인 소유로 유지되었고, 일부 백인 농부들은 흑인 거주 지역으로 경계를 조정하여 이익을 얻기도 했다.[15][16]

4. 1. 부정적 평가

로디지아 전선(RF)은 백인 구성원을 유지하고 교육 및 공공 서비스에서 다른 인종에게 별도의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자 했기 때문에, 로디지아 내외에서 종종 인종차별주의적인 정당으로 특징지어졌다.[14]

남아프리카의 국민당과는 달리, RF는 비백인 유권자들의 권리를 전부 법적으로 박탈하지는 않았고, 백인과 비백인 간의 결혼과 관계는 가능했지만 흔하지 않았다. 그러나 RF 정부는 기존의 인종 차별과 불평등을 영속화했다. 백인 소수의 경제적 지배와 토지 소유가 유지되었고, "별도의 경제적 진보" 정책을 통해 공공 서비스, 교육 및 선거 명부의 인종 차별이 유지되었다.

RF 집권 이전에 이미 흑인 유권자의 권리는 사실상 박탈된 상태였다. 소득 및 재산 자격에 따라 구분된 'A' 및 'B' 선거인 명부에서 'A' 명부는 주로 백인, 'B' 명부는 소수의 아프리카인으로 구성되었다. 1969년 로디지아 헌법 국민투표에서는 두 선거인 명부를 인종별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27만 명의 백인이 50석, 6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16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흑인들이 이 시스템을 거부하는 것을 더욱 강화했다.[17]

1969년 도입된 로디지아 토지 소유법은 표면적으로는 백인 소유 토지를 흑인과 동일하게 했지만, 실제로는 비옥한 농지가 백인 소유로 남았고, 일부 백인 농부들은 경계를 흑인 거주 지역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이점을 얻었다.[15][16]

5. 선거 역사

로디지아 전선은 1962년 총선에서 54.9%의 득표율로 65석 중 35석을 차지하여 집권 여당이 되었고, 1965년 총선에서는 78.4%의 득표율로 65석 중 50석을 획득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980년 짐바브웨 독립 이후 실시된 총선에서 로디지아 전선은 백인에게 할당된 20석 모두를 획득하였다. 이후 당명을 공화주의 전선(1981년), 짐바브웨 보수 연맹(1984년)으로 변경하였다. 1985년 총선에서는 백인 지정 20석 중 15석을 획득하였다. 1986년에는 모든 인종에게 입당을 허가하였고,[23] 1987년 백인 의회 지정석이 폐지되면서 많은 백인 의원들이 무소속이 되거나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맹 (ZANU)으로 이적하였다.[24]

로디지아 전선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의 표와 중복되므로 표는 생략)

5. 1. 입법 의회 선거 (Legislative Assembly elections)

연도유효 투표득표율의석정부
196238,28254.9%
196528,17578.4%|


5. 2. 하원 선거 (House of Assembly elections)

연도유권자 투표득표율의석정부
197039,06676.8%50 / 66로디지아 전선
197455,59777.0%50 / 66로디지아 전선
197757,34885.4%50 / 66로디지아 전선
197911,613 (백인 유권자)82.0%28 / 100통합 아프리카 국민 회의
198013,621 (백인 유권자)83.0%20 / 100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맹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Historical Biography 1989
[2] 서적 Ending Civil War: Rhodesia and Lebanon i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4
[3] 서적 The Rise of an African Middle Class: Colonial Zimbabwe, 1898-196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2
[4] 웹사이트 Rhodesian Front https://www.mdpedia.[...]
[5] 서적 From the Edge of Empire: A Memoir https://books.google[...] Outskirts Press 2018
[6] 서적 The Columbia Guide to Central African Literature in English Since 1945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7] 서적 Cold War in Southern Africa: White Power, Black Liberation Routledge 2020-04-07
[8] 간행물 The Wretched of the Empire: Politics, Ideology and Counterinsurgency in Rhodesia, 1965–80 https://www.tandfonl[...]
[9]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Money and Credit: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
[10] 서적 Cold War in Southern Africa: White Power, Black Libe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11] 서적 Britain and Empire: Adjusting to a Post-Imperial World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7-02-19
[12] 서적 So Far and No Further! Rhodesia's Bid For Independence During the Retreat From Empire 1959–1965 Trafford Publishing 2005-06
[13] 웹사이트 Selby thesis http://www.zwnews.co[...]
[14] 보고서 RRT Research Response https://www.refworld[...] Refugee Review Tribunal 2022-12-20
[15] 서적 Zimbabwe: A Country Study
[16] 서적 Black Fire! Narratives of Rhodesian Guerrilla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7] 잡지 Rhodesia's Face of Defiance https://books.google[...] 2013-06-11
[18] 뉴스 Ian Smith Invites Blacks to Join His Part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4-07-23
[19] 뉴스 Zimbabwe whites lose special political status. End of reserved seats in Parliament brings one-party state closer https://www.csmonito[...] Christian Science Monitor 1987-08-25
[20]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Money and Credit: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
[21] 서적 Cold War in Southern Africa: White Power, Black Libe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22] 서적 Britain and Empire: Adjusting to a Post-Imperial World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7-02-19
[23] 뉴스 Ian Smith Invites Blacks to Join His Part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4-07-23
[24] 뉴스 Zimbabwe whites lose special political status. End of reserved seats in Parliament brings one-party state closer https://www.csmonito[...] Christian Science Monitor 1987-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